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1)
[GIT] git hook commit-msg 적용하기 git hook을 적용하려고 한다 우선 나의 경우 git hook을 적용하려고 하는 목적은 정적분석 툴이나, Test code 들을 git에 push 하기전에 미리 자동으로 확인해서 push된 코드에 quality를 보장하려고 하는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commit message rule을 적용해 보도록 하겠다 음 .. 이유는? commit message는 협업에 있어서 중요하고, rule을 정하고 지키며 일관되고 보기좋은 commit message를 유지하고 싶어서 .. 1. git hook 의 공식 docs확인 link - https://git-scm.com/book/en/v2/Customizing-Git-Git-Hooks Git - Git Hooks If you’re writing a sc..
[Android] detekt 적용하기 정적 분석 툴을 검색하다보면 ktlint vs detekt 두가지를 비교하는 글이 많이 있다. 개인의 관점에 따라 선호하는 부분이 다르겠지만 굳이 차이점을 들자면 ktlint는 공식 가이드에 기반한 검사에 더 중점을 두고있고, detekt는 더 많은 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code quality를 높이는 가이드롤 기본으로 가지고 있다는것? 정도인것같다. 협업을 할때 공식적인 규칙 이외의 부가적인 규칙들이 많아진다면 생산성이 저하될수 있지만 또 코드 퀄리티에 있어서 장점이 있고, 각각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사용을 하는것이 좋을것같다. 일단 둘다 적용을 하겠다 https://detekt.github.io/ https://detekt.github.io/ detekt.github.io 1. o..
[Android] ktlint 적용하기 프로젝트를 최초 생성하면서 ktlint를 적용해보려고 한다 ktlint는 kotlin 공식 codeing convention을 기준으로 code를 분석해주고, 올바르게 수정까지 도와주는 정적분석 도구이다. 여러가지 정적 분석 도구가 있는데 공식 style을 기본으로 제공하여 대세인듯 하여 ktlint를 먼저 적용해보겠다! 1. 공식홈페이지의 build.gradle 추가하기 https://ktlint.github.io/ 공식홈페이지에서 build.gradle 예시를 제공한다. 나의 경우 ktlint directory 를 생성하고 아래 gradle file을 생성했다. gradle file은 file을 생성하고 파일명을 명명할때 확장자를 gradle로 명기하면 생성된다. 2. 작성 gradle 1 2 3 4..